스마트폰 중독 상태가
가면 갈수록 심각한 상태입니다.
국민 10명 중 9명이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신질환에 걸리면 친구들이 등을
돌릴 것이라는 시각은 절반을 넘었고,
스트레스와 우울감,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을 호소하는 비율은 2년 만에
큰 폭으로 증가해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4일 국립정신건강센터가 전국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올해 2∼5월에 조사해
내놓은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응답은 90.5%로 2022년
조사 때(83.2%)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전 국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건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등을 목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신건강 상태,
정신질환 사례별 인식(2024년 신규추가),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 등 4개
분야에 대해 실시한 이번 조사는
2022년(2000명 대상) 조사에
이어 2년 만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 정신질환 이해도는
4.05점으로 2022년 대비 0.1점 상승했고,
부정적 인식(2022년 3.15점 → 2024년 3.12점)과
수용도(2022년 3.18점 → 2024년 3.22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응답은 2022년 83.2%에서 90.5%로
증가했고,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라는 응답은 2022년
49.3%에서 61.4%로 늘었습니다.
특히
심각한 스트레스,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 인터넷·스마트폰 등
기타 중독은 2022년 36.0%에서
올해 46.3%로 2년 만에 10% p 이상 증가했고,
정신건강 문제 경험 시 도움을 요청했던
대상은 ‘가족 및 친지’가 49.4%로
가장 높았고, 정신과 의사 또는
간호사(44.2%), 친구 또는
이웃(41.0%) 순이었습니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은
“정신건강 문제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요즘 유럽 및 일부 국가에서는
16세 이하 스마트폰 사용금지를
고려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는
“피처폰 280만 대 팔려” 스마트폰
버리는 미국인이 늘었습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지난달 30일 자
보도에 따르면 피처폰 인기가 급증해
미국에서만 지난해 280만 대 이상
판매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대해 피처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쓰지 않고 나서부터 일상이
더 차분하고 현재 상황에
집중하게 됐다고 추정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에 따라 독이
될 수도 약이 될 수도 있지만,
지금의 스마트폰 사용 90%가
뇌를 갉아먹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그로 인해
생활력이 무기력 해지고
직장이나 교에서 돌아와
소파나 침대에 누워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며
움직이질 않고 좀비 마냥 누워서
시간을 보내다 출근을 하게 되는 거죠.
이런 습관을 탈출하기 위해
생활의 활력을 찾아야만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컨트롤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해
운동과 등산 취미 생활을 만들어
조금씩 스마트폰과 멀어지는
시간을 가져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